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Gee2

구글 인공위성 데이터 플랫폼으로 의성 안동 지역 산불 피해 면적 산출 2025.3.22 ~ 3.28일 발생한 의성 안동지역의 산불 피해 내역을 구글 인공위성 데이터 플랫폼 GEE(Google Earth Engine)을  활용하여 피해 지역을 분석한 내역입니다.산출 개요Sentinel-2 위성 이미지를 사용하여 산불 발생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고, NBR(Normalized Burn Ratio) 지수를 활용하여 피해 정도를 구분하여 산출하였습니다.활용 데이터셋Sentinel-2 SR: 유럽 우주국(ESA)의 Sentinel-2 위성에서 제공하는 지표면 반사율 데이터셋10m 해상도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 밴드를 포함하며, 비교적 정밀한 산불 피해 분석에 적합Sentinel-2 위성은 해상도가 높은 반면, 약 5일 주기로 한반도 상공을 지나감 : 산불 발생기간중  3.24일 및 3.. 2025. 3. 31.
ChatGPT로 지구 지리 데이터 분석(AI 기반 기후환경 대책) 구글 어스 엔진( Google Earth Engine - GEE)에서 프로그래머로 수행하던  지구 지리적 데이터 분석( Geospatial Data Analysis )도 ChatGPT를 이용하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.절차는 간단합니다. No-code는 아니지만 코딩을 몰라도 누구나 가능하여 정부가 추진하는 데이터 기반 행정에 활용 할 수 있습니다.1. 가입 register ㅇ https://code.earthengine.google.com/register ㅇ Google Account 이용하고, 무료 계정 (교육용, 연구용 등)으로 가입한다.2. Project 생성 ㅇ https://code.earthengine.google.com/register ㅇ 프로젝트명 : myproject_name 3. GE.. 2024. 7. 11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