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2025.3.22 ~ 3.28일 발생한 의성 안동지역의 산불 피해 내역을 구글 인공위성 데이터 플랫폼 GEE(Google Earth Engine)을 활용하여 피해 지역을 분석한 내역입니다.

산출 개요
Sentinel-2 위성 이미지를 사용하여 산불 발생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고, NBR(Normalized Burn Ratio) 지수를 활용하여 피해 정도를 구분하여 산출하였습니다.
활용 데이터셋
- Sentinel-2 SR: 유럽 우주국(ESA)의 Sentinel-2 위성에서 제공하는 지표면 반사율 데이터셋
- 10m 해상도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 밴드를 포함하며, 비교적 정밀한 산불 피해 분석에 적합
- Sentinel-2 위성은 해상도가 높은 반면, 약 5일 주기로 한반도 상공을 지나감
: 산불 발생기간중 3.24일 및 3.29일 오전 11시경(한국시각) 경북권 통과
분석 기간
- 화재 전: 2025년 3월 12일 ~ 2025년 3월 18일
- 화재 확산 초기: 2024-03-24 11:17분경
- 화재 후 : 2025-03-29 11:17분경 의성 안동지방 위성 통과
피해 지역 구분 방법
- NBR(정규화 화상 비율) 계산: 화재 전후의 NBR 변화량(dNBR)을 계산하여 산불 피해 정도를 정량화.
- 임계값 적용: dNBR 값이 0.4보다 큰 지역을 심각한 피해 지역으로 구분
피해 면적 계산
- 피해 지역으로 구분된 픽셀의 면적을 합산하여 총 피해 면적을 계산.
- 산불피해 면적: 33,266.96 헥타르(332.67 제곱킬로미터) * 2025년 3월 29일 11시 17분 위성 촬영 기준
(참 고) 호수나 특정 지형에서의 빛 반사 등 일부 산불 피해 면적이 추가되거나 제외 되었을 수 있습니다.
산불 발생 지역 지도 시각화
산불 확산 초기 (03.24 11:17분 경)
- 연기가 동쪽으로 길게 날리고 있어서 영덕방향으로 진행을 예상 할 수 있음


- 행정구역 지도를 바탕으로 보면, 언론 보도상의 두 개 지역(의성 안평면 괴산리, 안계면 중하리 일대)이 바람이 불어오는 가장 서쪽 지역에 위치하며,
- 안계면 중하리 일대의 규모가 좀 더 작아서 나중에 시작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.

산불 종료후 (03.29 11:17분경)
- 피해 면적: 33,266.96 헥타르 : 통계적 로직에 의한 산출이어서 세부지역별로 오차가 있을 수 있음


엄청난 자연과 인명의 피해로 큰 상처를 남긴 재해이어서, 다시는 재발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.
구호 활동 및 복구 활동 뿐만 아니라, AI 및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로 이러한 재해에 대한 방지 대책을 찾아야 하는 과제도 남겼습니다.
산불 발생 예측지수화, 산불 확산 경로 예측, 산불 피해 면적 산출 등 과학적 분석 관리 및 대응이 필요할 것입니다.
AI의 지원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의 지속성을 효과적으로 보장하는 방안을 찾는 것도 AI 민주화의 중요한 미션입니다.
반응형